한계비용이란?

한계비용이란, 다른 단위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한 비용의 증가를 말한다. 즉, 생산 증가를 비용 증가로 나눈 것입니다. 예를 들어 생수 100병을 생산하는 데 10,000원이 든다면 생수 1병을 생산하는 데 드는 평균 비용은 100원이다. 이 밖에 보틀 101개와 보틀 102개는 각각 1만80원과 1만150원이며 보틀 101개는 1만8000원=80원, 보틀 102개는 70원이다. 생산의 경제성(1만080원→1만150원)을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생산이 늘어나면 늘어나는 추가 비용(80원→70원)이 어떻게 발생할지도 지켜봐야 한다. 생산목적이 이익을 극대화하려면 한계비용 움직임을 봐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변수(생산 규모)의 미분 값이 0이 되는 장소에서 함수값(총비용)의 최소값이 결정되고 한계의 개념이 미분값과 일치함을 수학적으로 상기시킴으로써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한계비용은 서서히 감소하고 생산량이 일정 규모에 이르면 다시 증가하기 시작한다.

 

 한계소비성향은?

개인의 소득을 소비와 저축으로 나눠 소비에 쓰이는 소득의 비율을 소비성향과 저축성향이라고 한다. 한계소비성향은 새로 늘어난 소득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말한다. 즉 소득 증가는 △Y, 소비 증가는 △C△Y 입니다. 일반적으로 물가상승기에는 한계소비가 높아지고 저소득층은 고소득층보다 한계소비성향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

 

 한계효용이란?

제품이나 서비스의 소비량이 1단위로 증가하는 것을 한계효용이라고 부른다. 한계효용은 총효용의 변화를 소비의 변화로 나누는 것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체적인 효용은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한계 효용은 점차 작아진다(한계 효용 감소의 법칙).

 

 한국은행은?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12일 한국은행법에 의해 설립된 중앙은행이다. 한 나라의 중앙은행이 시행하는 통화정책은 통상 경제발전 과정에서 시대의 도전을 반영한다. 한국은행은 창립 이래 1950년대의 전쟁 극복,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산업화와 성장통화 공급, 1980년대와 1990년대의 물가 안정과 금융 자유화에 중앙은행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왔다. 그동안 한국은행법 수차례 개정으로 제도개편이 이뤄졌으며 2011년 8차 개정에서는 물가안정과 함께 금융안정의 책임이 한은의 목적조항에 명시됐다. 현행 한국은행법은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의 수립집행을 통해 물가안정을 촉진하고 이 과정에서 금융안정에 유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시적 근로자란?

근로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는 상시 근로자와 달리 근로 기간이 정해져 있는 계약직, 일용직 등을 비정규직 근로자라 한다. 이에는 한시적 근로자, 시간제 근로자 및 비전형근로자가 있다. 한시적 근로자란 근로계약 기간을 정한 근로자(기간제 근로자) 또는 따로 정하지 않았으나 계약의 반복 갱신으로 계속 일할 수 있는 근로자와 비자발적 사유로 계속 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 근로자(비기간제 근로자)를 말한다. 여기서 기간제 근로자는 일정 기간의 근로계약 기간을 정하여(구두 또는 묵시적 약속이나 계약을 포함하여)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를 말하며 계약 기간의 장·단, 계약 반복 갱신 여부, 계약직 촉탁직 임시직 계절근로자 등 명칭과는 관계가 없다. 시간제 근로자란 직장에서 근무하도록 정해진 소정의 근로 시간이 동일 사업장에서 동일 종류의 업무를 수행하는 근로자의 소정의 근로시간보다 1시간이라도 짧은 근로자로 평소 1주에 36시간미만 일하기로 정해져 있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 한편 비전형근로자는 파견근로자, 용역근로자, 가정내 근로자, 일일(단기) 근로자 등을 말한다. 참고로 임시근로자는 임금근로자로서 고용계약 기간이 1개월 이상 1년 미만인 경우, 고용계약 미설정자는 일정한 사업(완료 기간이 1년 미만)의 필요에 의해 고용된 경우를 말한다.

 

 한은금융망은 무엇인가?

한국은행이 1994년 12월부터 운영 중인 대규모 결제시스템으로 금융기관의 콜거래, 외환, 증권판매 등을 기준으로 한 원화 결제는 대부분 한국은행에 개설된 당좌예금을 송금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금융 기관 간 원 이체 외에도 한국 은행의 대출 지원과 상환, 국고 자금의 수용, 어음 교환 시스템, 지로 시스템 등 소액 결제 시스템의 은행 간 채권과 채무 상환 등이 있다. 한국은행 금융네트워크는 결제 과정에서 신용위험을 해소해 하루 결제 유동성을 절약할 수 있는 실시간 총결제 방식에 양자 및 다자 동시결제(차액결제)를 추가하는 혼합결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밖에 결제 유동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대기 관리 시스템, 당일 당좌 대출 시스템, 당일치기 RP 시스템, 항일 콜거래 시스템 등을 운영하고 있다. 2017년 말 현재 한국은행 금융망에는 국내은행 19개, 외국은행 국내지점 38개, 제2금융권 72개 등 총 129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